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패션 컬렉션] 원가 및 판매가 산정

by ARO's 2024. 5. 2.
반응형

원가 및 판매가 산정

오늘은 패션 컬렉션 상품의 원가 및 판매가 산정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원가와 판매가는 브랜드에 따른 가격정책이 반영되며, 상품개발에 소요된 비용의 균형을 맞춰서 산정한다.

 


확정된 원가로부터 역으로 이론상 원가를 계산하는데,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원자재 가격, 제작비, 자수 비용, 프린트 비용 등 가격 협의하기
  • 각 단계에 해당하는 작업에 소요된 비용 및 상품의 부자재 가격을 원가에 반영하여 수익내기(더 저렴한 가격대의 원자재 또는 대체품 구매)
  • 브랜드가 위치하는 시장 대비 판매 가격과 품질 수준 간의 균형 모색
  • 컬렉션의 여러 라인의 수준을 맞추기
  • 추구하는 품질과 비용 간의 균형 맞추기
  • 판매가의 마진 정하기

어떻게?

원단 및 부자재표를 이용하여 원가 산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취합한다. 부자재 가격, 원단 및 부자재의 필요 수량 산정, 한 PCS당 사용재료 지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원단, 부자재, 행거, 라벨, 사이즈 택, 취급주의표, 포장재, 운송비까지 포함될 것이다.

 

원자재 단가와 소요된 원자재 수량을 곱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생산팀의 영향이 또 중요한데, 제조사 및 협력사와 제조 단가를 협의하는 역할을 한다. 원자재 가격 산정과 마찬가지로 스타일별 상품 수량을 고려하여 제조단가를 협의하여야 한다.

 

필요한 정보를 모두 취합하게 되면, 원가산정표나 전용 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타일 별로 데이터를 입력한다. 원가산정표가 완성되면 상품의 이론상 가격을 구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원가이다.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로 제조기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이전하는 전략은 모든 브랜드의 필수전략이 되었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생산이 유명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인건비가 올라가면서 중국, 베트남 등 제3 국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방글라데시, 미얀마, 인도 등으로 바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동일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사실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제조시설을 이전한다는 것은 저가품이나 저품질 상품과 동의어로 여겨져 왔었으나, 이제 더 이상 그렇지 않다. 제조시설 이전은 대중품 기업에서 고가품 기업까지 모든 기업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략이다. 더 높은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발주기업의 입장에서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는데 마진폭을 높이거나 판매가를 낮추는 선택권이며 이는 경쟁전략 및 가격정책에 따라서 선택한다.


"당신이 입은 옷이 태도를 만든다". - Demna Gvasalia


마진과 판매가

마진폭을 정하기 위해서는 경쟁사의 유사 상품 판매가를 비교해 보고, 회사의 입지와 역대 판매가격을 고려한다. 새 시즌 상품을 선보이며 가격을 두 배로 올릴 수 없다. 매장 판매가를 기준으로 하여, 각 단계의 마진을 대입해 보면서 시뮬레이션을 한다. 이를 통해 상품의 원가를 구하게 된다. 또는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협의할 가격의 기준을 구한다. 해당 업는 생산팀과 MD들이 주로 핸들링한다고 보면 되지만, 브랜드에서 추구해야 되는 이익률과 전체 영업이익을 놓고 본다면 디자이너팀까지 전 브랜드가 협력하여야 하는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예를 들어, 브랜드의 위치에 맞지 않게 디자이너가 너무 비싼 원부자재를 셀렉한다면 그것으로 만든 상품은 마진과 이익률이 남지 않게 된다)

 

오늘은 상품을 만든 뒤 상품의 마진과 판매가 선정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상품의 생산단계의 구성 및 생산관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